네트워크
-
STOMP네트워크 2024. 8. 19. 21:41
STOMP,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WebSocket은 Text, Binary 두 가지 타입의 메시지만 주고 받을 수 있고 메시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형식이 정해져있지 않습니다.이 때문에 메시지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탄생한 프로토콜이 STOMP 입니다.STOMP는 frame 기반의 프로토콜이며 command - header - body 구조로 되어있습니다.또한 STOMP는 publish - subscribe 의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 / 구독하여 처리합니다.STOMP frame 구조COMMANDheader1:value1header2:value2Body^@ - Command클라이언트 command는 CONNECT, SEND, SUBSCRIBE, UNSUBS..
-
WebSocket네트워크 2024. 8. 19. 20:53
WebSocket 이전의 이벤트 통신사용자와 웹 서버는 HTTP 요청 - 응답 방식으로 통신합니다.하지만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해야할 때가 있는데 채팅, 알람과 같이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사용자에게 단방향 응답을 해야했습니다.웹소켓이 나오기 이전에는 Polling, Long Polling 등의 방식을 이용해서 해결했습니다. 1. Polling사용자가 웹 서버에 주기적으로 요청을 보내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는 방식입니다.구현하기 쉽지만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바로 확인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많아지게 되면 많은 양의 요청이 서버로 보내지기 때문에 서버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. 2. Long Polling사용자가 웹 서버로 요청을 보내지만, 서버에서는 바로 응답하지 않고 ..
-
OAuth2.0네트워크 2024. 8. 17. 01:32
OAuth?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를 접속할 때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, 제3자 클라이언트가 사용자의 접근 권한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입니다.구글, 카카오, 네이버 등과 같은 제3자 클라이언트가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매커니즘입니다.OAuth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없이 간편하게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기술입니다.OAuth의 용어용어설명Resource Owner리소스의 원래 소유자입니다.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의미합니다.Client클라이언트는 OAuth2.0 용어로, 사용자의 리소스에 접근하려는 애플리케..
-
쿠키, 세션네트워크 2024. 2. 22. 01:59
Http의 비연결성, 무상태브라우저와 서버는 실제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. 이 둘은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,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.만약 계속 연결되어 있다면 이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시켜준다면 매우 큰 서버 비용이 발생하게 될겁니다.Htt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데, 그 통신은 비연결성(Connectionless)와 무상태성(Stateless)로 이루어집니다.비연결성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 입니다.채팅이나 게임 같은 것들을 하지 않는 이상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실제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.무상태성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.기존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들도 마찬가지로 서버의 비용과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 이기 때문에 기존의 상태가 없다고 가정하는 프..